아이엠잉글리시프렙

iM English Prep - Visualizing English Education!

영어권교육문화시각화 자세히보기

한국n영어/한국정착정보 45

한국 베이비붐세대 [1955-1963/64-74년생]

2023년 12월 31일 기준 한국 행정안전부 통계에 의하면, 한국 베이비붐세대는 1955년생부터 1963년생까지 1차 베이비붐세대 약 700만명과 1964년생부터 1974년생 [1973년생 까지를 지칭하기도 함]까지 2차 베이비붐세대 약 950만명을 합쳐 부르는 말입니다. 2023년 12월 31일 현재 한국 베이비붐세대는 만 50세부터 69세까지에 해당하며, 한국 세대별 인구분포상 가장 많은 수 1,650만명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12일 현재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현황과 직업활동 여건과 상황 등에 대한 상세 내용을 담은 MBC "[PD 수첩] 은퇴 없는 나라 5060 베이비부머 리포트"를 참고로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

한국 석박사 풀장학금 [학비+ 월 80만원] - 외국인, 재외국민 특별전형

미국 캐나다 등 북미 영어권 거주 한인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로서 초등학교부터 세컨더리 및 대학 학사과정까지 마쳤거나 마칠 예정인 한국 재외국민은, [한국국적자의 경우 외국 영주권자 외에도 유학생비자 소지 등을 유지하며 초등학교부터 고교졸업까지의 12년간 전 교육과정과 대학과정을 외국에서 마친 경우도 포함하여] 외국인과 마찬가지 범주로 분류되어, 매년 두 차례 9월학기와 3월학기 입학시기에 맞춰져 특별전형으로 시행되고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과정 13개전공, 박사과정 12개전공 분야 중 선택 지원하여 선발되면, (1)학비전액면제와 (2)국비유학장학금 일년 12개간 월 80만원지급을 받을 수 있고, 더 나아가 근로장학금 선택지원 및 선발시 (3)학부조교 또는 연구보조원의 경우 학기중 월 60..

한국의 절차적 복지 [천부적 자유권 문제]

한국의 직업군 중 인류 또는 인간의 심리적 정상성, 사회적 복지의식, 절차적 정의에 대한 지적 교육과 경험적 학습 및 역사철학적 교양에 기반하여 수행되어야만 하는 직종이 현재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2018년 2월 26일 방송된 KBS "제보자들"이 그 관찰자료를 제공하고 있어서 살펴보았고, 이를 간략히 정리된 학술적 핵심개념어와 이슈가 될만한 점들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사회화 우선주의 문제: 개인의 자유권과 정상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사회성에 두고 개인의 언어행동을 관찰하게 될때 결과될 수 있는 심각한 사회적 폭력성을 회피하도록 해야만 합니다. 사회적 고립 소외 움츠림 등은 사회현상적 관찰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생활세계적 현상과 의미이해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고 봅니다.개인의 정신적 자유권박..

2024년 한국의 노인최저임금차별법 발의는 성공제일주의 현상

Careerism causes evil in Confucian Korea. = Evil Careerism 성공제일주의는 악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성공제일주의가 유교적 사회문화가 작동하고 있는 2024년 한국에서 어떻게 악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상징적으로 알려 주는 2024년 4월 17일 보도내용입니다. 바로 서울시의회의 노인최저임금법 또는 65세노인최저임금차별법 발의입니다. 유교적 정치경제가치론이 작동하고 있던 1997년 IMF 사태 즉 한국 외환위기를 전후로하여 현저히 눈에 띄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차등채용제도는 2024년 4월 현재 한국의 악한 성공제일주의 현상의 또다른 상징입니다. https://namu.wiki/w/%EB%B9%84%EC%A0%95%EA%B7%9..

2024년 한국방송문화지수론 [Korean Broadcasting & Culture Index ]

북미 영어권을 중심으로 한 해외거주 한국인들 중 상당수는 본인 또는 자녀의 영어권학위취득 후 귀국하여 한국생활에 들어갈 준비를 하며, 이 과정 중 가장 먼저 관심을 갖고 적극 접촉하며 파악에 들어가는 분야는 한국의 TV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온라인 상의 Korean Broadcasting & Culture Index 한국방송문화지수입니다. Broadcasting & Culture Index 방송문화지수란 각 개인의 질적 취향 상황 목적이 아니라 사회적 또는 이상적인 선호도 지속력 정상성을 양적으로 나타낸 수를 말합니다. 이런 의미로, 2024년 한국방송문화지수란 (1)현재 한국의 노래 또는 가요 음악방송 프로그램을 예로 들자면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각 개인의 생활세계적 질적 취향이 아니라 그 각 방..

한국의 직업적 특혜와 자녀진로 [외교관과 생활세계]

해외거주 한국국적자가 가장 현실적이고 비교적 수월하게 한국인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직업군 중 하나는 세계적인 명문대를 진학 졸업후 선발과정을 거쳐야 될수 있는 한국외교관 또는 한국외교부공무원입니다. 필자는 13년여전 자신의 결정대로 정치학을 전공하고 있던 큰 아들의 직업적 진로세계와 이해도를 높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찾아가면서 한국외교공무원 또는 한국외교관이라는 직업의 생활세계와 현실성을 조사하게 되었었고, 그때 주목했던 점은 두 가지 였었는데, 직업의 안정성과 한국병역의무에 대한 바람직한 방법발견이었습니다. 이때 알게 된 사실은 (1)외교관들의 생활세계가 근무지인 해외공관을 1-2년주기로 바꾸어야해서 자녀양육 및 교육에 어려움이 많다는 점과 외교관선발시험에 합격하면 (2)남자의 경우 병역문제해결루트가 ..

한국체류/거주 외국인 2023년 현황종합

대한민국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의하면, 2022년 12월 31일 현재 한국체류 또는 거주 외국인은 총인구 51,439,038명 중 2,245,912명으로 4.37%입니다. 행정안정부의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분석에 의하면, 한국내 90일이상 체류 또는 거주하는 귀화자와 외국인 즉 한국거주 또는 체류 외국인 주민의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수도권으로 경기(37,010명) 서울(15,546명) 인천(12,171명)입니다. 외국인은 외국국적동포와 유학생(법무부 출입국통계 197,234명) 및 결혼이민자(법무부 출입국통계 169,633명) 등을 포함합니다. 체류 및 거주기간별로는 장기체류외국인 1,688,855명, 단기체류외국인 557,057명입니다. 한국거주 F-5 Visa 영주권자176,107명이고, 취업비자 취..

한국 38세 병역면제 핵심조건은 부모와 함께 해외거주다

한국병역법상, 한국국적의 남자가 그 부모님과 함께 합법적인 해외 이주 및 거주시 만 38세부터는 한국병역면제를 받게 됩니다. 그 핵심점은 한국병역면제를 받기까지 한국국적의 남자가족의 규정인데요, 결혼여부와 무관하게 일차적으로 부모와 병역대상자인 남자 본인을 Family 가족으로 본다는 점입니다. “영주권자 38세부터 병역면제” - 마이베스트홈 (mybesthome.com) “영주권자 38세부터 병역면제” - 마이베스트홈내년 1월1일부터 해외 영주권자의 병역의무 부과연령이 종전 35세까지에서 37세까지로 연장된다. 토론토총영사관 등에 따르면, 모국 병역법 개정(2010년 1월25일)에 따라 현역병 입영 등 병역의무mybesthome.com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아들의 나이 만 38세가 되기까지 ..

한국 2023년 거주 외국인 250만명

인구통계학과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A Multiracial and Milticultural Nation 다인종 다문화국가 개념은 한 국가내 거주 또는 체류 외국인의 수가 전체 인구의 5%이상일 경우를 의미합니다. 한국 법무부와 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9월말 현재 한국내 거주인구는 5,137만명이며, 장단기 합법체류 또는 거주 외국인은 251만 4천명으로 4.89%에 이르렀습니다. 한국내 불법체류 또는 거주 외국인은 42만 9천명으로, 합법 및 불법 체류 또는 거주 외국인 총수는 294만 3천명으로 5.72%에 이릅니다. 한국거주인구 5,137만명 한국 합법거주 외국인 [장단기체류자] 합법체류자 = 251만 4천명 [한국내 합법외국인 비율 4.89%] 장기체류자 = ..

Anything goes in Korea. [2022-23 한국정서: 애니씽고우즈.]

Emotion 이모우션 정서는 Consciousness 컨셔스니스 양심의 현재적 양상을 상징하는 Events 이벤트스 사건들과 Facts 팩트스 사실들을 통해 알려지고 확인됩니다. 사건이나 사실이 사람 또는 사람들 마음의 표상이라는 점에서, 2022년과 2023년 한국인들의 정서는 정치적 표상과 매스미디어 또는 언론의 표상을 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할수 있습니다. Consciousness 양심이란, Socio-cultural representation 사회문화적 표상에 의해 변화양상을 드러내고 동시에 영향받아 형성됩니다. 2022-23년 한국인의 양심은 논쟁적으로 표면화된 정치적 사건들과 언사들 그리고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이 보여주고 있는 생존경쟁 패러다임에 의해 드러난 갈등과 수용의 사회문화적..

한국 비전문취업비자 [필리핀 등, E-9 고용허가제 16개국]

한국 E-9 Visa 비전문취업비자 발급이 가능한 고용허가제 16개국 명단입니다. 필리핀, 몽골, 스리랑카,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캄보디아, 중국, 방글라데시, 키르키즈스탄, 네팔, 미얀마, 동티모르, 라오스 E-9 Visa 비전문취업비자 발급에 유력한 후보 3개국 명단입니다.타지키스탄, 러시아, 파푸아뉴기니      2023년도 E-9 Visa 발급이 추진되고 있는 비전문취업비자에 관한 내용은 아래 "외국인 가사근로자 100명 연내 시범 도입" 등 기사를 참고바랍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731/120505397/1 외국인 가사근로자 100명 연내 시범 도입… 최저임금 적용이르면 연내 필리핀, 태국..

한국의 미신 패러다임과 현상 [그림분석, MBTI, 운명론]

어떤 자료나 정보도 항상 옳다거나 모두에게 이해되거나 받아들여질수 있는 해석적 입장이란 학술적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러 관점과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에 따라 상담자와 내담자의 현상분석이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말씀입니다만, 2023년 4월 18일 현재, 한국사회문화의 한 유행현상을 대변하거나 이끌고 있는 매스미디어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되고 있는 현대 한국의 미술치료 심리상담 사주팔자 행불행점 등은 현상을 미신적 사유 패러다임 속에서 보고 있음을 관찰하게 됩니다. 미신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위해서는 필자의 "Ivy League College Preparatory English 아이비리그대학 진학영어" 2-3 페이지를 참고로 보시기 바랍니다. 미신의 특징은 인간사의 모든 현상이나 사태 상황을 행운과..

한국 심리상담 [심리평가서의 유학정치술 문제]

심리상담 또는 심리요법의 출발점은 소크라테스의 산파술, Socratic Midwifery 소크래틱미드와이프리를 기초로 한 서양학술계의 비정치적 언어시각화를 통한 공동노력의 장 형성 공유에 있습니다. 필자의 박사학위논문 부록에 수록된 "Narrative Therapy: A Socratic Interpretation for Youth Ministry"를 참고로 답니다. 상담자와 내담자가 그 공동노력의 장에 포함되고, 문제해결로서의 상담 또는 치료를 의미하는 공동노력의 핵심어를 찾아내는 과정 또는 작업이 (1)내담자의 언어적 표현에 대한 상담자의 언어 시각화, 내담자 언어의 지평선과 수평선을 드러내 주는 작업을 통한 공동 환경형성 후 (2)내담자의 의미이해 과정을 통한 문제해결로서의 상담 또는 치료와 (3)상..

Post-COVID Era 한국 2023년 취업상황 이해자료

한국방송공사 KBS 2TV "9층시사국"은 2023년 2월 1일 POST-COVID Era 포스트코로나에어라 = 코로나이후시대 한국의 2023년 청년취업상황에 대한 이해자료 "취업빙하기, 청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프로그램을 방송했습니다. 일본의 학술용어 "취업빙하기"는 (1)일본의 1995 ~ 2019년 25년간, (2)일본의 기업생존제일주의전략 실행으로 신규채용감소 및 직원감원추진지속, 및 (3)일본 청년취업급감기간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25년간의 취업빙하기세대는 2023년 현재 일본의 (4)4050세대 [40 ~ 50대]의 무직독신자녀세대화 및 (5)80대 부모세대의 성인자녀동거보호세대화로 나타났고, 이를 학술용어로 "8050문제"라합니다. 한국의 국가통계포털에 의하면, 2022년 12월 기준 주..

남친/여친, 남사친/여사친 [한국의 연애/결혼, 불륜 가능성/의도]

친구라는 말은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에서 "처지나 수준이 비슷한 정도의 사람"을 지칭한다는 사회문화의미론적 함축을 가지고 있는데, 2022년 한국에서 매스컴을 통해 정치의미론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남친/여친"이라는 말은 "친구 = 수준이 같은 사람 = 만만한 사람"을 함축합니다.      "남사친/여사친"이라는 말에 대한 풀어쓰기는 남자사람친구, 여자사람친구라 말하고 있는데, 이 풀이 단어 중 사람이라는 말의 출처와 의미를 생각해 보기 위해 영어표현으로 옮길 경우를 상정해 보았습니다. 영어권에서 Friend 프렌드는 "가족 이외의 사람들 중에 잘 알고 있고 많이 좋아하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친구와 사친에 대한 영어표현을 중심으로 간단히 정리하여 그 의미파악을 시도해 봅니다.   {}이성관계를 전제한 남자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