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잉글리시프렙

iM English Prep - Visualizing English Education!

영어권교육문화시각화 자세히보기

영어권유학 125

Hendrix College 미 유학장학금 2억5천만원 [US$200,000]

미국 Conway, AR 알칸사 콘웨이에 있는 연합감리교회전통 Hendrix College 헨드릭스칼리지는 재학생 1,000명의 소규모대학으로, Hays Memorial Scholarship 헤이즈기념장학금을 통해 4년간 학비전액과 생활비일체를 포함하는 US$200,000 한화 2억 5천만원을 제공합니다. 매년 4명을 선발하며, 관심 있는 분은 2022년 11월 15일 마감 전까지 지원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유학생 지원 최저성적 GPA 3.6/4.0 (참고, 미국학생 GPA 3.93/4.0) ACT 32 SAT 1430 International Prospective Students 유학생 지원절차와 상세 정보는 [여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https://www.hendrix.edu/ Hendrix Col..

Agnes Scott College 미 여자유학장학금 2억8천만원 [US$230,000]

미국 Decatur, GA 조지아 디카튈에 있는 장로교전통의 사립여자대학교 Agens Scott College 아그네스스캇칼리지는 Marvin B. Perry Presidential Scholarships 말빈비페리총장장학금을 통해 4년간 학비전액과 생활비일체를 포함하는 US$230,000 한화로 2억 8천만원을 제공합니다. 재학생 1,000명으로 소규모 학교로서, 2020년 인종분포는 흑인 314, 백인 304, 히스페닉 135, 아세안 75입니다. 관심 있는 분은 2023년 1월 15일 마감 전까지 지원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https://www.agnesscott.edu/index.html Agnes Scott College Agnes Scott College is a private women's ..

토론토 공립 대안학교정보 [Toronto Alternative Schools]

학생이 처해 있는 가정 또는 개인 상황과 사정에 따라 Genius Learning 영재학습 또는 Genius Education 영재교육의 기회 제공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그 한 방법으로 공립 대안학교를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다만, 영재학습이나 교육 기회가 성공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 또는 학생의 학부모나 가정내 정서-신체적 집중력을 유지케 할수 있는 누군가가 꼭 있어야만 합니다. [Toronto Alternative School List] [토론토 공립 초등대안학교 배치도] [토론토 공립 세컨더리대안학교 지도] [토론토 공립 세컨더리대안학교 입학정보] [링크] {영재교육 관점에서 추천할 만한 토론토 공립 대안학교} Oasis Alternative Secondary School (G9-12) Cit..

토론토 영재학교 세컨더리명단 [Gifted Support Program Schools]

토론토지역에는 8개 지역으로 나뉘어 분포된 공립 영재프로그램운영세컨더리가 있습니다.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고, Elementary School Grade 3 초등학교 3학년부터 상위 2%에 해당하는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설명회와 시험기회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3학년과 8학년의 선발과정을 놓치지 않도록 하시면 됩니다.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따라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Giftedness Program School Finder 영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토론토 공립 세컨더리학교에 대한 상세정보를 원하는 경우 아래 검색창을 사용하면 됩니다. [Toronto Gifted Secondary Schools] Western Tech-Comm School (Toronto, ..

영어권에서 공부 잘 한다는 게 무슨 뜻인가? [GPA/Scholarships]

북미주의 미국 캐나다 Secondary 세컨더리 (주별 학제에 따라 시작하는 학년은 6학년 또는 7학년 등 다양하나, 공통적으로 12학년까지 마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학교시스템을 일컫는 말) School 과정을 마친 후, 대학진학을 원하는 경우 대학입학심사를 받게 되고, 이 과정에서 지원학생의 세컨더리 GPA 평균평점에 따라 장학금을 배정받게 됩니다. 대학입학심사시 말하는 지원자의 Secondary School GPA 세컨더리스쿨 평균평점은 각 학교 입학안내 홈페이지에 선공지된 내용에 따라 산출되는데, 예컨대 미국 하바드칼리지의 경우는 9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성적 평균평점을 지칭하고 캐나다 토론토대학과 브리티시콜럼비아대학 UBC의 학점는 11-12학년 평균평점을 말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영어권 장학금유학 참고사항 [COVID-19 현황]

COVID-19 코비드나인틴은 각 학생 또는 학습자가 처한 가정형편 또는 학습환경이 갖는 학업성취도 역할을 극명하게 드러나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 캐나다 등 북미 영어권 세컨더리학생들의 경우, 학습환경이 좋은 학생들은 세계대학랭킹 상위 대학의 진학경쟁율을 현저히 높이고 있고, 보통 학생들의 대학입학지원서 제출율은 매우 낮아지는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코비드나인틴 상황하의 각 대학입학지원서 제출현황과 이에 대한 각 학교 당국의 입시정책 결정에 의하면, 세계대학랭킹이 있는 각 명문대학들은 장학금지원 액수와 수혜대상자 숫자를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최근 2022년 1월 7일 INSIDE HIGHER ED 인사이드하이어에듀에 의해 분석 공개되었습니다. Income..

미국대학 랭킹과 진학 참고정보 [COVID-19 현황]

COVID-19 코비드나인틴 상황하에서 미국 캐나다 등 북미영어권의 대학입학지원현황과 상황이해를 위한 구체적인 자료가 요구되는 가운데, 최근 2022년 1월 7일 INSIDE HIGHER ED 인사이드하이어에듀는 의미 있는 관련자료를 공개했습니다. Fewer High School Graduates Go Straight to College "고교졸업반 대학진학율 낮아지다"는 기사제목이 함축하는 바와같이 코비드나인틴 상황 속에서 고교 졸업후 곧바로 대학진학하려는 미국 대학입학지원자 숫자가 전체적으로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자료에 대한 미국 Georgetown University Center on Education and the Workforce 조지타운대학교 교육일자리센터장 Anthony Carnevale 앤..

한미가 학술평판대학랭킹 US News 2022

US News & World Report 2022 Best Global Universities Rankings 미국 유에스뉴스지의 2022년 세계대학 학술평판랭킹목록 중 한국 미국 캐나다 대학 전부를 정리하였고, 미국 내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현지에서 실질적인 대학선택 지표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US News Best National University Rankings 미국종합대학랭킹 상위 100여개 학교순위를 해당 학교명 우측 괄호를 통해 포함시키면서 세계랭킹 100위권을 벗어나는 학교의 경우 빨강색으로 구별되게 하였고, 영어를 교수언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교의 경우 괄호속에 해당 교수언어를 표기하여 참고할수 있도록 구별해 놓았습니다. 한국어를 교수언어로 사용하는 경우 자주색, 불어를 교수언어로 사용하는 ..

Canada Provincial Education Links [캐나다 주교육부 링크]

캐나다 각 주별 교육부 링크 (위키피디아 정보)입니다. 초중고교 주별 학력평가시험일정, 샘플, 고교졸업요건 등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캐나다 교육부관련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Provincial and Territorial Departments and Ministries Provincial Education(Wikipedia) Provincial Department Or Ministry(External Link) Education in Alberta Alberta Education Education in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 in Manitoba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

절차적정의론의 하바드의미론

책을 통하여 전세계적인 유명세를 가진 철학자 중에 John Rawls 존 롤즈라는 분이 있습니다. 1971년 출간된 "A Theory of Justice" 한국어로 "정의론"이라 번역되어 한국대학의 철학과를 중심으로 널리 읽혀지고 논의되어 졌었습니다. 이에 대한 한국철학계 즉 한국철학교수님들의 롤즈 정의론의 핵심은 이른바 절차적 정의론이었습니다. 절차가 정당하다면 곧 받아들일만하고 합리적인 정의론이라 말하는 것입니다. 해서 영어권에서 사용된 용어인 Procedural Justice 절차적 정의 또는 Justice as Fairness 공정의로서의 정의라는 번역과 함께 미국인 롤즈를 윤리 사회정치철학적 정의론의 현대 대표학자로 평가하게 되었었습니다. 필자는 1990년대 중반부터 미국유학생활을 시작했고, 지..

캐나다 공사립대학접근법 및 참고사항 [Unranked Canadian Universities]

University 유니버시티, 캐나다대학의 대부분은 공립대학이며, 이들 교육기관들은 상호 학점인정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캐나다대학시스템내 학점인정, 편입, 대학원진학 등 캐나다 고등교육기관 교육행정 서비스 작동을 기대할수 있는 대학은 캐나다 내의 경우 공립대학을 전제하고 있다는 현실을 인식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말씀입니다. Unranked Canadian Universities 세계화지표 랭킹이 없는 캐나다 공립대학들에 대한 이해에 도움되는 내용을 심층적으로 정리해 봅니다. (1) Admission Requirements 입학심사 필수정보의 내용중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영어능력입니다. 유학생 이민자 시민권자의 경우 보통 세컨더리과정 중 4년 이상을 영어권에서 공부했다는 사실과 12학년 영어과목 최저인..

*캐나다대학 입학성적분포도 [Canadian University Admissions Statistics]

*** 캐나다대학의 신입학생 입학성적분포는 MacLean's 맥클린을 통해 매년 발표되고 있는데, 일률적으로 이해할수 없는 자료입니다. 왜냐하면, 각 대학 및 전공분야마다 Admission Requirements 입학심사필수과목들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아래 제공되는 통계자료는 따라서 각 대학별 입학심사필수과목들에 대한 Freshmen GPA 신입학생 평균학점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또한, 불어문화권에 속해 있는 McGill University 맥길대학교와 Concordia University 컨콜디아대학교의 평균학점 이해의 경우에는 오타와대학에서 지원가능한 최저평균학점을 불어문화권인 Quebec 퀘벡주 고등학교졸업생들에게는 영어권 고등학교졸업생들보다 10% (10점) 높게 공지하고 있다는 점을 참고해야..

*한미가대학 학술랭킹 [Canada/Korea/US Academic Universities 2020]

*** Canada/Korea/US Academic Universities 2020 2003년부터 중국 상하이 자이오통대학에서 시작한 세계대학 학술색인 또는 학술지수에 의한 세계명문대학랭킹이 최근 상하이랭킹으로 명칭변경되었습니다. 대규모의 연구중심 대학에 유리한 학술색인이기 때문에 미국 명문사립대학을 예외로한다면 거의 국공립대학 및 의대 등의 명단이 많이 포함되었다는 사실을 알수 있습니다. 자연과학 등의 연구역량과 발표는 출신학교 동문 교수 등의 학술활동을 가리키며 영어학술발표와 업적평가를 지수화하기 때문에 실상 대학교수에 의한 대학랭킹이라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를 교수언어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캐나다 불어권대학이나 한국대학의 세계화지수 또는 세계학술명문대학으로서의 랭킹보다는 영어권대학 현황이해 자료..

*한미가 세계명문대학랭킹 [Canada/Korea/US QS University World Rankings 2022]

*** Canada/Korea/US QS University World Rankings 2022 캐나다 한국 미국 대학의 세계화지표로 작성된 2022년 QS명문대학명단 전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세계화지수 또는 세계화색인작성시 언어영역을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세계언어 즉 세계적인 관점에서 소통언어로 영어를 생각하는 입장에서 보자면, 영어를 교수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비중이 가장 높은 KAIST를 제외한 거의 모든 한국대학과 불어를 교수언어로 채택하고 있는 캐나다대학은 학술역량이나 소통역량의 측면에서는 의미가 미미하다고 하겠습니다. QS Top Universities [Link] Ivy League Colleges/Universities Private Institu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