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잉글리시프렙

iM English Prep - Visualizing English Education!

영어권교육문화시각화 자세히보기

영어권유학/Ivy League

아이비리그 입시의 경제학 2013-2024

Dr. Chah 2024. 1. 25. 04:53

필자의 2013년 3월 19일 작성 글 "아이비리그 입시의 경제학 2013"에 대한 2024년 1월 24일 (한국기준 2024년 1월 25일) 언론보도 링크를 유관한 증거 및 참고자료로 덧 붙입니다.

https://www.nytimes.com/2024/01/23/us/yale-columbia-price-fixing-settlement.html

 

Yale, Duke and Columbia Among Elite Schools to Settle in Price-Fixing Case

Five universities have agreed to pay $104.5 million to settle a lawsuit accusing them of violating an agreement to be “need-blind” when admitting students.

www.nytimes.com

 

 

https://v.daum.net/v/20240125012054800

 

"경제적 능력 보고 학생선발"…美명문대, 1천억원대 합의금 지급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미국의 명문대들이 입학 사정 과정에서 지원자들의 경제적 능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거액의 합의금을 내기로 했다. 뉴욕타임

v.daum.net

 

본 블로그에 "미국대학입시의 경제학"이라는 제목으로 올려놓은 글을 먼저 읽으시고 그 연장선상에서 본 내용을 살펴보시기를 권합니다.

 

2013년 3월 17일과 18일 양일간 미주 중앙일보와 한국일보에 올라온 보도에 따르면, 아이비리그대학 진학에 대한 정보해석의 질적 접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합니다. 표면적으로는 입시평가의 경제적 포용성이 주요한 미덕인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그 내용의 의미가 지칭하는 대상을 생각해보면 지구촌적 리더십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죠. 학술적인 용어로 말하자면, 지성엘리트주의가 그 근본을 이루고 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않됩니다.

 

다른 한 편으로는, 지성엘리트주의를 받쳐주고 있는 체제가 무엇인지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가정경제력에 대한 가치평가가 실질적인 학업기회진입의 큰 요소라는 말은 실용윤리학을 함축한다는 점을 주목하게 합니다. 현금가치가 실용주의에서 어떤 조직적 집단적 공동체적 정치학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생각하면 되겠죠.

 

슬픈 입시의 계절을 맞이하지 않으려면 지성지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생활시스템 혹은 생활방식을 갖출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오늘 우리시대의 아이비리그대학입시의 경제학입니다. 만약 지구촌을 내려다 보며 지성과 경제를 통해 모든 사람을 구원하시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볼 수 있다면 선민 (Elitism, Chosen People)의 길을 걷는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될런지도 모릅니다.

 

아래 두 신문의 원문을 링크와 함께 올려 놓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orea Daily (미주)중앙일보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617112

 

 

하버드대 총장 "뛰어난 한국학생들 돈걱정 말고 오라"

[연합뉴스]
"학생이 살아온 전반적으로 관찰학교외 활동도 살펴"
방한 앞두고 연합뉴스와 단독 인터뷰

  기사입력: 03.17.13
15:02

 

 

 

드루 길핀 파우스트 미국 하버드대학 총장은 17(현지시간) 학생을 위한 대학 당국의 재정 지원을 소개하면서 한국 학생들은 학비 걱정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오는 20일 첫 한국방문을 앞둔 파우스트 총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학생들은 하버드대학의 캠퍼스 생활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면서 "하버드대학에 입학하고 싶은데 재정적 부담을 고민하는 학생들이 있다면 걱정하지 말라고 말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학부모의 합산 소득이 65천 달러 이하일 경우 부모에게 어떤 재정적 부담도 지우지 않으며, 65천 달러에서 15만 달러 사이의 소득이라면 전체 학비의 10%만 부모가 부담하도록 재정지원책을 마련해놓았다고 밝혔다.

그는 하버드대학이 원하는 학생의 자질에 대해 "학생이 살아온 삶을 전반적으로 관찰한다"면서 "단순히 시험 점수, 등급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학생이 가진 모든 자질과 성품을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을 관찰해온 선생님들의 평가를 듣고, 학교 생활 이외의 활동에 대해 살펴본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어 "하버드대학은 한국의 인재 양성 과정에 1950년대부터 기여해왔다"면서 "한국에 있는 하버드대학 동문은 물론 현재 공부하고 있는 한국 학생들과의 연계를 강화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파우스트 총장은 하버드대학이 역점을 둬 추진하는 '국제화 프로그램'에 대해 "학생들이 졸업하기 전에 반드시 국제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수업을 이수하도록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국제 현안에 대해 균형 있는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학생들이 영어로만 세계를 보지 않도록 하기 위해 70여개가 넘는 어학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면서 "또 국제적으로도 하버드대학 연구진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7개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파우스트 총장은 "모든 학문의 기본은 인문학"이라고 강조한 뒤 "인문학은 학생들이 뭔가 궁금한 점을 발견했을 때 이를 바라보는 인식의 방식이라는지,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는 방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그는 "어떤 사물을 인식하면서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중요한 일"이라면서 "우리만의 세계를 넘어서야 하며, 이는 시간과 공간 차원 모두에 해당한다"며 인문학을 통해 학생들 인식의 틀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파우스트 총장은 국제적인 리더가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자질로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그들과 협력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하버드대학내 한국학 프로그램과 관련, 파우스트 총장은 "현재 하버드 대학내에서 한국과 관련된 연구와 일을 하는 교수와 연구진이 많다"면서 "경영학 대학원에서는 한국 기업들을, 디자인대학원에서는 한국의 건축과 도시디자인에 대해 연구하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 영화를 연구하는 분들까지 다양하게 포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파우스트 총장은 방한 중 22일 이화여대에서 '여성 교육, 세상을 변화시키다'라는 주제의 강연을 할 예정이다.

28대 하버드 총장인 파우스트 총장은 미국사, 특히 남북전쟁과 미국 남부 지역 역사 전문가다. 하버드 대학으로 부임하기 전에는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25년간 교수로 일했다.

버지니아주 셰넌도어 밸리 지역에서 태어나 성장한 파우스트 총장은 매사추세츠주 콩코드 아카데미를 마친 뒤 1968년 역사학 전공으로 브린마워 대학을 우등으로 졸업했다. 이어 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 미국사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잇따라 받았다.

모두 6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그 가운데 1996년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출판부에서 출간한 '발명의 어머니들:남북전쟁 기간중 노예소유 남부의 여성들'은 이듬해 프란시스 파크먼상을 받았다. 2008년 출간된 '고난의 공화국:남북전쟁과 죽음' 2009년 뱅크로프트상을 수상했고, 뉴욕타임스가 뽑은 2008년 최고작 10선에 들기도 했다. 1986, 1990, 2004년에는 퓰리처상의 역사부문 선정위원을 지냈다



The Korea Times (미주)한국일보http://www.koreatimes.com/article/783807


“명문대 진학, 성적순 아닌 소득순”
점수 같아도 고소득 자녀 유리… 저소득층 경제적 이유 입학 포기
하버드ㆍ스탠포드 조사
입력일자: 2013-03-18 ()


 




같은 성적을 받았더라도 고소득층 자녀들이 더 좋은 대학에 입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스탠포드 대학의 캐럴린 혹스비와 하버드 대학의 크리스토퍼 에이버리 연구팀의 조사 결과를 보면 소득 최하위(4분위) 계층의 학생 가운데 수학능력시험(SAT)에서 고득점을 얻은 학생이 명문대에 입학한 경우는 34%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는 학생 선발절차가 까다로운 238개 대학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성적과 소득 변수가 선발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반면에 수학능력시험 성적이 같은 학생 가운데 소득 최상위(1분위) 계층의 자녀가 명문대에 입학한 경우는 무려 78%에 달했다.

심지어 저소득층 자녀는 좋은 점수를 받았더라도 명문대에 지원조차 하지 않았다. 대신 학비가 저렴한 2년제 전문대나 4년제 주립ㆍ시립대학을 선호했다.

이는 저소득층 학생들이 명문대의 장학금ㆍ학비융자 제도를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거나, 스스로 명문대생이 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이런 문제로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하고 계층간 이동이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했다.

대학 졸업자들의 임금이 고졸자들에 비해 월등히 놓은 현실에서 저소득층 자녀는 명문대는커녕 자신이 다니던 대학마저 졸업하지 못하는 예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또 다양한 소득계층의 자녀를 선발하겠다는 명문대학의 다짐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에 있는 센트럴매그닛 고교의 진학상담 교사인 조지 모런은 “소득 하위층과 중간층 가구의 자녀들은 대개 (저렴한 학비 때문에) 출신지역의 학교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수준의 성적을 가진 학생들이 서로 다른 학교를 선택한데 따른 결과는 실로 엄청나게 크다.

저소득층 학생들이 주로 다니는 대학들은 상대적으로 시설이 낙후된 편인데다 졸업률도 낮아 곧바로 소득격차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앰허스트 대학의 톰 파커 입학처장은 “대학들이 저소득층 자녀들의 입학을 위해 더 창의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면서 소득이 입학에 미치는 영향은 상상으로 크다고 강조했다.